♧자유정보,뉴스,자료 게시판♧

[스크랩] 단오의 의미와 유래

이카루스。 2017. 5. 30. 18:11

 

 

        <단오의 의미와 유래>

 

 






한국과 중국에서 음력 5월5일은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고유의 세시명절 중 하나이다. 동양사회에서 숫자로 보면 홀수는 음양(陰陽)가운데 양(陽)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달(月)과 일(日)의 수(數)가 모두 양(陽)으로 겹치는 음력 3월3일, 5월5일, 7월7일 등의 명절에는 햇볕(陽의 기운)이 가장 강하다고 하여 갖가지 성대한 행사가 거행되어 왔다. 음력 5월5일 역시 이러한 명절 중의 하나로 일반적으로는 단오절(端午節)이라 불리어 왔다. 단오(端午)의 의미는 초오(初午)라는 뜻으로 음력 5월의 첫 오일(午日:말의 날)을 뜻한다. 단오는 또 천중절(天中節), 중오절(重五節), 단양(端陽)등으로도 불리고, 한국에서는 수릿날이라고도 하며, 중국에서는 오월절(五月節)이라고도 한다.



단오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학설이 분분하다. 대표적인 학설을 몇 가지 들자면 시절전래설(時節傳來說), 조아고사설(曺娥故事說), 오자서고사설(伍子胥故事說), 굴원고사설(屈原故事說)등이 있다.




1. 시절전래설(時節傳來說)



단오절의 풍습이 생겨난 것은 비가 많이 내리기 시작하는 음력 5월을 맞아 악질(惡疾)이나 액환(厄患)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예방(豫防) 풍습이 생겨난 데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약초(藥草)나 창포(菖蒲)를 사용하거나 쑥으로 인형(人形)을 만드는 풍습에서 보이듯이 향(香)이 강한 풀이나 약초(藥草) 등으로 액(厄)을 예방하고 건강을 기원하는 차원에서 명절로 정해진 것으로 보는 주장이다.



2. 조아고사설(曺娥故事說)



중국 동한(東漢)시대에 조아(曺娥)라는 효녀의 고사에서 비롯된 유래이다. 어느 날 조아의 부친이 강에 빠져 익사를 했다. 당시 14세이던 조아는 강을 따라 통곡하며 부친의 시체를 찾아 헤매었지만, 17일이 지나도록 그 부친의 시체는 찾지 못했고, 마침내 5월1일 그녀 역시 강물에 몸을 던졌다. 5일에 함께 부둥켜안은 두 부녀의 시체가 강물위로 떠올라 보는 이들의 눈시울을 적셨고, 동네사람들이 이들을 위해 제사를 지냈다는 고사에서 비롯된 설이다.



3. 오자서고사설(伍子胥故事說):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초(楚)나라 사람이던 오자서(伍子胥)의 부친이 초나라 평왕(楚平王)에게 죽임을 당했다. 이에 분개한 오자서는 오(吳)나라로 건너가 오왕(吳王) 합려(闔閭)를 도와 초나라를 멸망시키고, 이어 평왕의 시체를 무덤에서 파내 채찍질을 함으로써 부친의 복수를 했다. 그런데 오왕 합려가 죽은 후 합려의 아들 부차(夫差)는 전횡을 일삼으며 오자서가 주장하는 연제항월(聯齊抗越:제나라와 연합해 월나라에 대항하자는 계책)에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 오히려 태재(太宰) 백비의 중상모략을 듣고 검을 내려 오자서로 하여금 자결하게 한 뒤, 음력5월5일에 그의 시체를 전당강(錢塘江)에 내버렸다. 오자서는 죽은 뒤 이 강의 신이 되었고, 이후 강소(江蘇)-절강(浙江) 일대의 백성들은 매년 5월5일이 되면 오자서를 위해 제사를 지내었다고 한다. 이러한 제사 활동이 훗날 단오절 각종 풍속활동의 기원이 되었다는 설이다.



4. 굴원고사설(屈原故事說):



가장 많이 인용되는 유래는 바로 전국시대(戰國時代) 초(楚)나라의 충신으로 유명한 굴원의 고사에서 비롯된 설이다. 굴원(屈原)은 기원전340년 지금의 호북성에서 태어나서 초나라의 삼려대부(三閭大夫)벼슬을 지낸 인물로서, 박식하고 총명하며 고상한 인품으로 존경받았고, 초나라 회왕(懷王)으로부터도 많은 신임을 얻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기(史記)의 굴원열전(屈原列傳)을 보면 “궁에 들어서면 왕과 국사를 논했고 궁을 나서면 손님들을 접대하였다”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초나라에서 상당한 지위에 있었다는 것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겠다. 그러나 왕의 신임이 두터우면 두터울수록 이를 시기하는 자들도 늘어나는 법, 마침내 그를 시기하는 자들에게 모함을 당하여 면직되고 경성에서 쫓겨나 유배되기에 이른다. 그러나 그가 유배되어 있는 동안 초나라는 진(秦)나라를 정벌하러 갔다가 참패하고, 이후 굴원은 회왕에 의해 다시 부름을 받게된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굴원은 2번째로 유배를 가게 되고 그 사이 초나라 회왕은 진나라에 잡혀가 죽고, 경양왕(頃襄王)이 즉위를 한다. 그 뒤 굴원은 경양왕에 의해 강남으로 3번째 유배를 ! 가게 된다. 결국 굴원은 유배지인 강남에서 비통함에 젖어 많은 시를 남기고 죽은 것으로 전해지는데, 그의 죽음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여러 학설이 있다. 즉 굴원은 자신을 시기하여 모함한 무리들에 의해서 재상의 자리에서 물러나야만 했고, 유배지에서 자신의 결백을 위해 강물에 빠져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설. 그리고 우국충정에 불타는 마음을 알아주지 않는 세상을 한탄하던 끝에 스스로 물에 뛰어들었 다는 설이다.



또 한가지는 유배되어 있던 중 초나라가 진나라에게 멸망하자 이를 듣고 분개하여 기원전 278년 음력 5월5일 62세를 일기로 호남(湖南)의 멱라수(泊羅水: 호남성 상수의 지류)에서 투신자살하였다는 설이다.



어쨌든 굴원이 강물에 몸을 던진 뒤, 사람들은 이 소식을 듣고 달려와 비통한 마음을 금치 못하고 배를 타고 사방으로 굴원의 시신을 찾았지만 아무도 그의 시신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에 사람들은 대나무통에 찹쌀밥을 넣어 강물에 뿌리고 북을 치며 용주(龍舟)를 저어서 물고기들을 쫓아 굴원의 시신을 먹지 못하도록 했고, 매년 음력 5월5일이 되면 대나무통에 찹쌀밥을 넣어 강물에 던지며 굴원의 넋을 기렸다고 전해 온다. 이것이 바로 단오절과 단오절에 중국 각지에서 행해지는 롱조우(龍舟) 경주와 쫑즈를 먹는 풍습의 유래라고 전해진다. 즉 배를 타고 굴원을 찾아 헤매던 것이 용주(龍舟)경주로 발전되었고, 굴원의 시신을 먹지 말라고 물고기들에게 대신 던져주었던 쫑즈를 집집마다 싸서 먹는 풍습으로 확대된 것이다.





<단오절의 풍습>



1. 싸이롱조우(賽龍舟: 용주 경기)



중국에서 단오절의 가장 중요하고 인기 있는 활동은 역시 롱조우(龍舟)경주이다. 굴원의 고사에서 유래되었다는 이 활동은 오랜 시일이 지나면서 국제적인 민간 스포츠로 발전되었다. 롱조우(龍舟)는 용처럼 생긴 일종의 목선(木船)으로 경기를 할 때에는 많은 롱조우(龍舟)가 징과 북 소리 속에서 서로 선두를 다투는데 그 장면이 매우 장관이다. 현재 싸이롱조우(賽龍舟: 용주 경기)는 전 중화권에서 매년 음력 5월5일을 전후해 대대적으로 개최되고 있다. 형형색색의 용모양의 배에 20여명 정도가 함께 세차게 노를 저어 나가고 맨 앞 용머리에 있는 사람이 목적지의 깃발을 빼어들면 우승하는 것이다. 우렁찬 북소리와 함께 롱조우가 힘차게 물살을 가르면 몰려든 관중들은 열광하고 단오절 축제는 최고조에 이른다.



싸이롱조우는 현재 중국의 항주 지방을 비롯해 홍콩, 대만, 싱가폴 등지에서 매년 국제대회를 개최하며 큰 인기를 얻고 있는데, 중화권 뿐만 아니라 필리핀, 일본 캐나다 등지에서도 출전팀이 참가하고 있다. 롱조우는 특별한 설계도가 있는 것이 아니라 숙련된 목수의 경험만으로 제작되며 목수가 배 한척을 완성하는데 45일 정도가 소요된다고 한다. 이 배의 심볼인 용두(龍頭)와 부조는 전문 공예사들의 손을 거치며, 마지막으로 용두에 용의 눈을 그려 넣는 의식을 통해 롱조우는 비로소 생명력을 갖게된다. 생명이 생긴 배는 해안으로 진수되어 3회 전진 후퇴를 반복한 후 비로소 제 구실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국제대회는 홍콩 스타일과 대만 스타일로 구분되며, 대만스타일의 배가 용두의 크기가 더 크며 선체도 크고 무겁다. 국제경기에서는 홍콩스타일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한편 2001년 4월29일에는 세계에서 가장 긴 코스로 장강삼협 76KM 종단 국제경기가 열려 크게 이목을 끌기도 했다.



2. 쫑즈먹기



단오절에 중국인들은 다른 음식을 만들지 않고 주로 쫑즈를 먹는다. 쫑즈역시 굴원의 고사에서 유래된 음식으로서, 찹쌀 반죽 안에 대추, 버섯, 고기 등의 속을 넣고 대나무 잎에 싸서 쪄낸 음식이다. 이 풍습은 중국뿐만이 아니라 멀리 일본, 말레이시아 등지에도 보급되어 있으며, 대륙식(북방식), 홍콩을 비롯한 광동식(혹은 객가식), 대만식이 있고 조금씩 특색을 지니고 있다. 북방식은 일반적으로 찹살 반죽 안에 대추를 넣어 대나무 잎으로 싸서 쪄내는 식인데, 대만식이나 객가(客家)식은 버섯이나 돼지고기, 새우,
오징어 등 다양한 속을 넣어 만든다.



3. 악귀 쫓기



한편 대만과 홍콩 등의 남방지역에서는 쫑즈를 먹고 롱조우(龍舟) 경기를 거행하는 외에도 슝황지우(雄黃酒:웅황주)마시기, 향주머니(香包) 걸기, 창푸(菖蒲:창포)꽂기, 아이차오(艾草:쑥) 걸어 놓기 등을 하며 악귀를 쫓고 건강을 기원하는 독특한 풍습이 있다.



쑥과 향주머니 걸기: 남방지역은 음력 5월정도 되면 매우 고온다습하기 때문에 과거에는 전염병이 도는 일도 꽤 있었다. 그러한 이유로 사악한 기운을 피하고 건강을 유지한다는 의미에서 문에 쑥과 같은 약초를 걸어 놓거나 향료가 들어 있는 각양각색의 아름다운 샹빠오(香包: 향주머니)를 걸거나 몸에 지니는 풍습이 생기게 되었다. 샹빠오는 물고기, 용 등 여러 가지 모양을 한 작은 인형이나 등(燈)과 같이 생겼는데 안에는 중국향이 들어있어 걸어놓거나 몸에 지니면 향기가 난다. 이 향기는 벌레가 가까이 오지 못하게 하고 악귀를 막아주는 의미라고 하며, 무더위에 이를 몸에 지녀 건강하고 또 행운이 있으라는 뜻이다.



슝황지우(雄黃酒:웅황주) 마시기: 슝황(雄黃)이란 일종의 광물질로서 이를 쌀로 만든 술에 탄 것이 바로 슝황지우이다. 슝황지우는 질병을 물리치는 효과가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이를 단오날 마신다. 단 이를 많이 마시면 안되며, 어린이는 마시지 않고 대신 이마에 슝황지우를 찍어서 王고자를 써주는 것으로 대신한다.



창푸(菖蒲:창포)꽃기: 창포는 악귀를 물리치는 효험이 있다고 생각해서 단오날 이를 문앞에 꽃아 놓는다.



한편, 같은 동양 사회인 우리나라도 오래 전부터 단오절이 일년 중의 중요한 세시풍속 가운데 하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단오절을 ‘수릿날’ 이라고도 했다. 여기에는 두 가지 뜻이 있는데, 우선 이는 한자어의 술의(戌衣)에서 온 것으로서, 그 의미는 신(神), 상(上), 고(高)를 뜻하며, 상일(上日), 신일(神日)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풀이된다. 모내기를 끝내는 5월이면 사람들이 모두 모여 하늘 신에게 제사를 지내고 음주와 가무를 즐기며 한 해의 풍년을 기원하는 세시풍속으로서의 의미인 것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단오절에 즐겨 먹는 음식인 쑥떡을 수레바퀴모양으로 만들어 먹었던 데에서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단오절에 우리나라에서 즐겨하는 활동으로는 그 지방의 향토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풍속이 있다.



우리나라의 단오는 북쪽지방으로 갈수록 강해지고 남쪽지방으로 내려갈수록 그 행사가 약해져 대신 추석을 중요시하게 여겨왔다. 즉 단오는 양(陽)의 기운, 추석은 음(陰)의 기운과 관계되었던 것이다.



중국사람들은 창포를 문에 꽃아 나쁜 기운을 예방한다지만, 우리네 부녀자들은 좀더 적극적으로 창포를 이용했던 것 같다. 창포물로 머리를 감으면 머리에 윤기가 돌고 소담해진다고 해서 이를 즐겨 했고, 또 몸에 좋다하여 창포 삶은 물을 마시기도 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도 중국과 비슷하게 역질(疫疾)을 예방한다 하여 단오절에 호리병박이나 작은 인형을 만들어 허리에 차기도 했으며, 몸에 부적을 만들어 지니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날은 일년 중 양기가 가장 강한 날이기에 그 중에서도 가장 왕성한 오시(午時)를 기해 어머니에게 이롭다는 익모초를 뜯어다 즙을 내드리는 효성스런 풍속도 있었다.

 

 

 


                                   


                             




 
출처 : 풀잎속의초애
글쓴이 : 풀잎속의초애 원글보기
메모 :